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 command] tail 명령어 옵션 및 사용법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하는 도구로, 주로 로그 파일에서 최신 기록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시스템 모니터링이나 실시간 로그 분석에 유용하며, 다양한 옵션을 통해 더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tail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유용한 옵션들을 정리하였다.1. 기본 사용법tail [옵션] [파일명]  2. 옵션옵션설명-n [숫자]마지막 [숫자]줄을 출력-f파일의 끝을 따라가며 출력-c [바이트]마지막 [바이트] 바이트를 출력-q파일명을 출력하지 않음-v파일명을 항상 출력-s [초]출력 사이에 지연 시간을 설정-r파일의 내용을 역순으로 출력--pid=[PID]지정된 PID가 종료될 때까지 파일의 끝 부분을 출력-z끝나는 줄 구분을 줄바꿈이 아닌 NUL 로 구분  3. 옵.. 2023. 4. 26.
[Linux command] grep 명령어 옵션 및 사용법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는 grep 명령어는 파일이나 출력에서 특정 패턴을 빠르게 검색하는 도구다. 시스템 로그 분석이나 텍스트 처리 작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다양한 옵션을 통해 검색 결과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grep의 주요 기능과 유용한 옵션들을 정리하였다. 1. 기본 사용법grep '찾을문자열' 파일명  2. 옵션옵션설명-i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v검색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라인을 출력-n검색된 라인의 번호를 함께 출력-r하위 디렉토리까지 검색-w정확하게 검색 패턴과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e여러개 검색 패턴을 지정-c검색 결과에서 일치하는 라인의 개수만 출력-l일치하는 라인이 포함된 파일 이름만 출력-x검색 패턴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라인만 출력-m지정된 개수만큼 일치하는 .. 2023. 4. 25.
[Linux command] openSSL 명령어 사용법 openssl 명령어 자주 사용되는 예제 정리SSL 인증서 형식 변환, key. csr 생성, SSL 모듈 체크 방법 등 자주 사용 하는 openssl 명령어와 예제를 정리하였다.1. key 생성 (RS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2048bit 개인키 생성)openssl genrsa -out private_key.pem 2048 2. key 확인openssl rsa -in private_key.pem -text -noout 3.Keypassword제거openssl rsa -in private_key.pem -out private_key_without_password.pem 4. Key password 추가openssl rsa -in private_key_without_password.pem -des3 -out.. 2023. 4. 25.
qmail - alert: cannot start: unable to open mutex (queue-fix 설치) qmail에서 alert: cannot start: unable to open mutex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qmail-smtpd 또는 qmail-send 프로세스가 비정상 동작 중이거나 파일 권한에 문제가 있을 때 보통 발생된다. 이 에러를 발견했을 때 해결 방법 2가지를 정리하였다.조치 방법 1. 파일 퍼미션 체크# chown qmails.qmail /var/qmail/queue/lock/sendmutex# chmod 750 /var/qmail/queue/lock/sendmutex  조치 방법 2. queue-fix 재설치 # /etc/init.d/qmail stop # mv /var/qmail/queue /var/qmail/queue_bakup# wget http://www.netmeri.. 2023. 4. 24.
postfix 설치 (ubuntu 서버) 웹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PHP나 Java를 이용해 메일을 발송해야 할 때가 있다. 외부 메일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Postfix를 설치하면 자체 메일 발송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Ubuntu 서버에 Postfix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과정을 간단히 정리하였다.[목차]1. Postfix 설치2. Postfix 기본 설정3. Postfix 재시작 및 서비스 체크4. mailutils 설치5. 메일 발송 테스트1. Postfix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postfix  2. Postfix 기본 설정설치가 완료되면 Postfix의 주요 설정 파일인 /etc/postfix/main.cf를 편집하여 서버 환경에 맞게 설정한다.nano /etc/post.. 2023. 4. 24.
opendkim 설치 및 설정 (DKIM, DMARC) OpenDKIM (DomainKeys Identified Mail)은 전자 메일의 인증 및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도메인 인증 기술의 일종으로, 전자 메일이 도착한 송신자가 실제로 그들이 주장하는 도메인의 소유자임을 인증한다. OpenDKIM은 전자 메일 서버에 설치되어 메일의 헤더와 본문을 디지털 서명하여 도메인 소유자가 전자 메일을 보낸 것임을 확인하게 처리한다. 서명은 메일 서버에서 검증하고 받는 수신자는 이메일이 실제로 인증된 송신자에 의해 보내졌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팸 메일, 피싱 공격 및 기타 전자 메일 보안 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다. OpenDKIM은 BSD 라이선스로 배포되며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다.[목차]1. 설치 환경2. opendkim 및 op.. 2023. 4. 24.
DMARC (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 이 글은 DMARC에 대한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 사용방법을 설명함.[목차]1. DMARC, 도메인기반 이메일 인증2. DMARC 작동 원리3. DMARC Tag1. DMARC, 도메인기반 이메일 인증DMARC (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은 도메인기반이메일인증 시스템으로, 이메일 도메인의 위조를 방지하고 이메일의 인증 및 전달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스팸 및 악성코드를 방지하고 이메일 통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DMARC는 SPF(Sender Policy Framework)와 DKIM(DomainKeys Identified Mail)의 단점을 보완하여, 이메일 도메인의 위조를 방지하고 이메일의 인증 및 .. 2023. 4. 22.
DKIM (Domain Key Identified Mail) 이 글은 DKIM (Domain Key Identified Mail)에 대한 기본 개념과 사용방법을 설명함.[목차]1. 도메인키 인증메일(DKIM)2. DKIM 작동방식3. DKIM-Signature Tag4. DKIM의 장단점5. 결론1. 도메인키 인증 메일(DKIM)DKIM은 SPF(Sender Policy Framework)와 유사하게 메일 발신자가 발송 정보를 위장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 표준이다. SPF는 메일의 발신자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서버인지 확인해 주는 반면, DKIM은 메일이 실제 도메인으로부터 발송되었는지 확인하여 이메일 위변조 여부를 판별한다. DKIM은 메일을 보내는 메일 서버에서 메일이 발송된 시점부터 메일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스팸 필터링 기술을 .. 2023.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