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ySQL vs MariaDB의 차이점, 성능, 보안, 라이선스 비교분석 MySQL과 MariaDB는 모두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이 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관리한다. 그러나 이 두 시스템은 비슷한 기능화 호환성을 가지고 있지만, 구현 방식과 기능, 성능, 보안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개발자나 기업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선택할 때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비슷하지만 다른 MySQL과 MariaDB의 성능, 보안, 라이선스등의 차이점을 정리하였다.[목차]1. MySQL의 특징2. MariaDB의 특징3. MySQL과 MariaDB의 성능 비교4. MySQL과 MariaDB의 호환성5. MySQL과 MariaDB의 보안6. MySQL과 Maria.. 2023. 7. 22.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정의와 개념 정규표현식은 문자열 처리 도구로서, 실무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정규표현식의 개념과 특징 적인 부분을 정리하고 사용 시 주의할 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제들을 정리하였다.[목차]1.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이란?정의역사2. 정규표현식의 특징패턴 매칭 기능언어 간 호환성3. 정규표현식의 구성 요소메타문자 (Metacharacters)리터럴 (Literals)플래그 (Flags)4. 정규표현식의 활용 방법검색과 치환 작업데이터 유효성 검사5. 정규표현식의 주의점백트래킹과 성능 문제복잡성과 가독성6. 참고사이트1.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이란?정의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은 문자열의 패턴을 찾아내고, 그 패턴을 활용해 문자열을 검색, 분.. 2023. 7. 21.
MySQL 성능 향상을 위한 tmpfs 활용법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서 공통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입출력 속도에 문제가 발생된다. JOIN이나 GROUP BY 같은 복잡한 쿼리를 실행할 때 생성되는 임시 파일을 RAM이나 디스크에 운영하는 임시 파일 시스템 MySQL tmpfs를 이용해 성능 최적화를 해볼 수 있다.[목차]1. MySQL tmpfs의 이해2. mysql tmpfs 설정 방법메모리에 임시파일 쓰는 방법디스크에 임시파일 쓰는 방법3. tmpfs 적용 후 프로파일링 성능 측정 방법4. tmpfs 설정 시 주의할 점1. MySQL tmpfs의 이해tmpfs는 주기억장치인 메모리 (RAM)에서 동작하는 임시 파일 시스템이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오는 속도가 디스크에 비해 월등히 빠르기 때문에, 이를 활.. 2023. 7. 20.
python으로 만든 DNS 쿼리 스크립트 ChatGTP 코드 인터프리터 기능의 도움을 받아 python으로 작성한 DNS 쿼리 스크립트이다. dig를 이용해 DNS 조회하고, 여러 네트워크망에 DNS 쿼리를 한 번에 하여 현재 내 도메인의 DNS 설정값이 안정적인지 파악해 볼 수 있게 하였다.[목차]1. DNS 쿼리 스크립트사용 방법쿼리 결과 확인 방법스크립트 소스2. 리버스 DNS 체크 스크립트사용 방법쿼리 결과 확인 방법스크립트 소스1. DNS 쿼리 스크립트사용 방법dg [조회할 도메인명] 쿼리 결과 확인 방법Set NameServers 섹션 : 조회한 도메인이 설정된 NS 정보조회를 하여 DNS가 어디인지 조회한다.Query Domain Name Servers 섹션 : 조회된 도메인의 NS에 A 레코드와 MX 레코드를 조회한다.Query .. 2023. 7. 18.
dig 명령어, DNS 쿼리 및 결과 분석 방법 dig는 Domain Information Groper의 약자로 DNS 서버에 질의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유용한 도구다. 웹호스팅과 시스템 관리를 하다 보면 도메인 DNS를 조회해야 할 일이 종종 생기는데, DNS의 문제를 파악하거나 도메인의 레코드등을 조회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윈도에서 쓸 수 있는 nslookup이라는 명령어도 있지만 주로 리눅스 OS에 기본 설치되어 있는 dig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nslookup 보다 쿼리 결과가 직관적이며 보고 싶은 정보만 추려서 볼 수 있어 DNS 조회하는 도구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명령어이다.[목차]1. dig 명령어 기본 사용법2. 쿼리결과 섹션별 분석3. dig 명령어 주요 옵션과 활용예제1. dig 명령어 기본 사용법dig [옵션].. 2023. 7. 17.
Mysql & MariaDB 캐릭터 셋(Character Set) 개념과 변경 방법 MySQL과 MariaDB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중 하나다.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웨어하우싱, E-Commerce 및 로그 분석 등에 널리 사용되며, 그 유연성과 안정성으로 인해 선호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프로그램과 연동하면서 잘못된 캐릭터 셋 설정으로 인해 저장되는 문자열이 깨지거나 데이터를 불러올 때 캐릭터 셋이 맞지 않아 글자가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해 MySQL과 MariaDB에서 캐릭터 셋 의 개념과 변경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목차]1. 캐릭터 셋(Character Set) 은 무엇인가?2. 서버 내 지원하는 캐릭터 셋을 확인하는 방법3. MYSQL & MariaDB 서버 내 설정하는 캐릭.. 2023. 7. 14.
nslookup 을 이용한 DNS 쿼리 사용법 웹이나 메일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도메인에 의존한다. 도메인은 DNS를 통해 아이피가 부여되고 접속자는 DNS에 설정된 아이피를 확인하여 목적지 서버의 경로를 찾아 서비스를 이용한다. 도메인에 어떤 아이피와 레코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알아내는 방법은 DNS 질의 도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윈도에서 기본 사용이 가능한 nslookup이라는 커맨드가 있다. nslookup은 기본 사용 방법 만으로도 충분히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 많은 기능들도 있다. 이 글을 통하여 nslookup 사용 방법과 DNS에 설정된 레코드를 질의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목차]1. nslookup 이란?2. nslookup 기본 사용법3. nslookup 주요 옵션4. nslookup 예제.. 2023. 7. 12.
[Linux command] ps 명령어 프로세스 모니터링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란, 프로그램의 시행단위를 말한다. 각각의 프로세스는 자체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며, 이를 통해 자신의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 프로세스는 고유의 프로세스 ID (PID)를 갖게 되며, 이는 시스템 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시스템 엔지니어로서 프로세스 관리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다. 각 프로세스가 시스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야 적절하게 할당하고, 필요 없는 프로세스를 종료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 중 가장 널리 사용하는 ps라는 명령어다. ps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2023. 7. 10.
[Linux command] vmstat 명령어를 통한 시스템 성능 모니터링 vmstat 은 Virtual Memory Statistics의 줄임말로, Linux와 같은 Unix 계열 시스템에서 가상 메모리 통계를 보여주는 명령어다. Linux 서버 환경에서는 높은 트래픽 처리와 복잡한 연산 수행을 위해 리소스 사용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관리를 위해 시스템 모니터링은 필수적이며, 서버 운영의 핵심 요소로 볼 수 있다. 부하 상태,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률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서버 성능을 체크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성능 모니터링을 위한 툴은 다양한데, Linux 시스템의 기본 기능인 vmstat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 준다. vmstat을.. 2023. 7. 9.
[Linux command] top 명령어를 통한 시스템 성능 모니터링 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할 때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이다. top 은 시스템 성능을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도구이다. top 명령어 사용 법과 옵션 및 활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목차]1. top 명령어 의 기본 사용법2. 자주 사용 되는 top 명령어 옵션 및 사용 예시3. top 명령어를 이용한 모니터링 팁1. top 명령어 의 기본 사용법top 명령어를 입력하면, 그 화면은 두 개의 섹션으로 나뉜다. 각 영역은 요약 영역과 상세 영역으로 요약 영역은 시스템의 전체 상태를 일반적으로 보여주며, 상세 영역은 개별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요약 영역top: 현재 시간, 시스템이 가동된 기간, 로그인한 사용자의 수, 평균 부하(load.. 2023. 7. 6.
워드프레스 테마 데모 설치 에러 - Maximum execution time of 29 seconds exceeded 워드프레스 테마 데모를 설치할 때 에러가 발생되었다.Maximum execution time of 29 seconds exceeded in /www/wp-includes/class-wp-image-editor-imagick.php on line 454해당 에러는 php 실행 시간을 초과했다는 에러다.원인실제로 서버의 php max_execution_time 설정이 짧아서 에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서버의 실행 시간은 29초 이상이었고 심지어 600초로 설정되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동일한 에러가 발생하였다. 에러가 발생된 파일을 보면 이미지 처리를 하는 과정에 발생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를 지원한다: GD Library와 Imagick (.. 2023. 7. 4.
도메인과 DNS의 동작 원리: 라우팅 과정의 개념 이해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PC와 휴대폰, 태블릿, 프린터, 심지어 가전제품까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것들은 저마다 아이피를 하나씩 가졌다. 이와 같은 기기들로 어떤 서버에 접속해서 정보를 보거나 자료를 다운로드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아이피를 알아야 접속이 가능하다. 사람이 일일이 아이피를 기억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만 모든 서비스의 목적지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아이피로 제공된다면 서비스 이용자도 공급자도 혼란스러울 것이다. 그래서 등장한 게 도메인(Domain)과 DNS (Domain Name Server)의 개념이다.[목차]1. 도메인(Domain) 이란?2. DNS(Domain Name Server) 란?3. DNS 레코드의 종류4. DNS와 라우팅 과정1. 도메인(Do.. 2023. 7. 3.
반응형